입소비용
 
 
 
 
 
| 등급 | 
  월 한도액 | 
  구분 | 
법정  본인부담금  | 
비급여 | 
합계 | 
실납부액 | 
비고 | 
 
|  
  1등급
    | 
  2,713,500원 (90,450원/일)  | 
  일반인 | 
542,700원 | 
757,160원 | 
1,299,860원 | 
1,200,000원 | 
법정본인부담 월한도액의20%  | 
 
  의료급여 수급권자  | 
325,620원 | 
757,160원 | 
1,082,780원 | 
1,050,000원 | 
법정본인부담 월한도액의12%  | 
 
  | 217,080원 | 
  757,160원 | 
  974,240원 | 
  950,000원 | 
  법정본인부담 월한도액의8%  | 
 
  국민기초 수급권자  | 
-  | 
757,160원 | 
757,160원 | 
757,160원 | 
법정본인부담 월한도액의0%  | 
 
|  
  2등급
    | 
  2,517,300원 (83,910원/일)  | 
  일반인 | 
503,460원 | 
772,070원 | 
1,275,530원 | 
1,200,000원 | 
법정본인부담 월한도액의20%  | 
 
  의료급여 수급권자  | 
302,070원 | 
772,070원 | 
1,074,140원 | 
1,050,000원 | 
법정본인부담 월한도액의12%  | 
 
  | 201,380원 | 
  772,070원 | 
  973,450원 | 
  950,000원 | 
  법정본인부담 월한도액의8%  | 
 
  국민기초 수급권자  | 
- | 
772,070원  | 
772,070원 | 
772,070원 | 
법정본인부담 월한도액의0%  | 
 
|  
  3등급
이하    | 
  2,377,200원 (79,240원/일)  | 
  일반인 | 
475,440원 | 
800,330원 | 
1,275,770원 | 
1,200,000원 | 
법정본인부담 월한도액의20%  | 
 
  의료급여 수급권자  | 
285,260원 | 
800,330원 | 
1,085,590원 | 
1,050,000원 | 
법정본인부담 월한도액의12%  | 
 
  | 190,170원 | 
  800,330원 | 
  990,500원 | 
  950,000원 | 
  법정본인부담 월한도액의8%  | 
 
  국민기초 수급권자  | 
-  | 
800,330원 | 
800,330원 | 
800,330원 | 
법정본인부담 월한도액의0%  | 
 
  | ※ 상급침실이용료 별도 추가됨 | 
   
  ※ 요양급여비용은 매년 장기요양위원회(위원장 : 보건복지부 차관)가 결정, 고시하는 『장기요양급여비용 등에 관한 고시』(보건복지부)에 따름  | 
 
 
 
 
구분  | 
  1인실 | 
  2인실 | 
4인실 | 
 
장기요양급여 본인부담금 (장기요양급여비용의 20%)  | 
  식비 | 
  ■ | 
  ■ | 
■ | 
 
  | 간식 | 
  ■ | 
  ■ | 
■ | 
 
|  이미용비 | 
  ■ | 
  ■ | 
■ | 
 
|  기타(여가활동비)  | 
  ■ | 
  ■ | 
■ | 
 
|  상급침실이용료  | 
  ■ | 
  ■ | 
  | 
 
|  합계(본인부담금) | 
  ■ | 
  ■ | 
■ | 
 
 1. 위의 금액은 매월 순수 본인(또는 보호자) 부담 금액임  2. 장기요양급여 본인부담금 경감율에 따라 금액 차이가 발생(장기요양등급에 따른 차등액은 없음)  3. 미포함 비용 : 계약의사 진료비 및 개인 약제비 등  | 
 
   
							 
							본문
							
							
														    
							    						       
						
					
					
					  
					  			          |